• 한국산업인력공단 부산지역본부

    2025. 8. 24.

    by. 홈페이지이

    한국산업인력공단 부산지역본부, 지역 인재와 산업을 잇는 허브

    목차

    1. 한국산업인력공단 개요
    2. 부산지역본부의 설립 목적과 역할
    3. 주요 사업 영역
    4. 국가기술자격시험 운영
    5.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
    6. 해외취업 및 글로벌 HRD 지원
    7. 산업현장 맞춤형 인력 양성
    8. 향후 과제 및 지역사회 기여 방향

    1. 한국산업인력공단 개요

    한국산업인력공단 부산지역본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고용노동부 산하의 준정부기관으로, 국가의 인적자원 개발과 관리, 직업능력 향상, 자격검정 등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사명으로 한다. 공단은 전국에 지역본부와 지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그중 부산지역본부는 영남권 인력개발의 중심기관이다.

    https://hrdc.hrdkorea.or.kr/hrdc/post/BlogPostListForm.hrd?blogSeq=162&postCategorySeq=968

    2. 부산지역본부의 설립 목적과 역할

    부산지역본부는 부산광역시와 인근 지역의 산업 인력 수요를 충족하고, 지역 내 직업훈련, 자격검정, 해외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 정책 수행
    • 기업 대상 인력 지원 사업 운영
    • 훈련기관 및 교육기관과 협력 네트워크 형성
    • 지역 특성에 맞는 자격 및 직업훈련 정보 제공

    부산의 해양, 물류, 기계, 조선 산업과 연계한 특화된 인력 지원 기능도 수행한다.

    3. 주요 사업 영역

    부산지역본부는 다양한 영역에서 직업능력 개발과 인재 육성 사업을 추진한다.

    • 국가기술자격 운영: 산업기사, 기능사 등 각종 자격시험 주관
    •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보험 훈련과정 운영 지원
    • 능력중심사회 기반 조성: NCS 확산, 역량 중심 채용 확대
    • 해외취업 지원: K-Move 프로그램 등 운영
    • 숙련기술 장려: 기능경기대회, 우수숙련기술자 선정 등

    이러한 사업은 모두 지역 청년과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4. 국가기술자격시험 운영

    부산지역본부는 매년 수만 명이 응시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을 주관하고 있다.

    • 자격종목: 산업기사, 기능사, 기사, 기술사 등 500여 종
    • 운영 방식: 필기시험 → 실기시험 → 최종 합격 발표
    • 시험장 운영: 부산시 내 지정 시험장에서 정기·수시 시행
    • 접수 및 발급: 온라인 신청 후 응시, 자격증 발급 지원

    시험의 공정성과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해 감독 인력과 평가 기준을 철저히 관리한다.

    5.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

    직업능력개발은 부산지역본부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실업자·재직자·기업을 대상으로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내일배움카드 과정 운영: 직종별 맞춤형 훈련 지원
    • 우수훈련기관 인증제도 운영: 질 높은 훈련기관 선별 및 지원
    • 훈련 수요 조사 및 컨설팅: 지역 산업군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이 과정은 구직자의 취업 역량을 향상시키고, 재직자의 직무능력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6. 해외취업 및 글로벌 HRD 지원

    부산지역본부는 국내 청년의 해외 진출도 적극 지원하고 있다.

    • K-Move 스쿨 운영: 해외기업 맞춤형 어학·직무 교육
    • 해외 취업박람회 개최: 글로벌 기업과 청년 매칭
    • 사후관리 시스템: 현지 적응, 비자, 근로계약 지원

    부산은 항만·물류 분야 글로벌 인프라가 탄탄해, 해외취업 연계에 유리한 여건을 갖추고 있다.

    7. 산업현장 맞춤형 인력 양성

    산업현장 수요에 즉각 대응하는 실무형 인재 양성도 중요한 역할이다.

    • 일학습병행제 운영: 기업 현장훈련 + 이론교육 병행
    •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사업: 지자체 협업 교육 지원
    • 산업별 공동훈련센터 연계: 뿌리산업, 조선, 기계 분야 등 특화

    이를 통해 부산지역 산업 구조와 연계한 실질적인 인력 공급이 가능해지고 있다.

    8. 향후 과제 및 지역사회 기여 방향

    부산지역본부는 미래의 인력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발전 방향을 계획하고 있다.

    • 디지털 전환 대응 훈련 확대: AI, 빅데이터, 스마트제조 중심 훈련 강화
    • 고졸 인재 및 중장년층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 강화
    • 산학연 협력 체계 강화: 대학·기업·연구소와 공동 사업 추진
    • 사회적 취약계층 대상 훈련 확대: 여성, 장애인, 저소득층 맞춤 지원

    앞으로도 부산지역본부는 지역 경제와 산업 발전의 든든한 인재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