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기계 e-마당 바로가기 · 등록·검사·교육·민원을 한 곳에서 끝내는 실전 가이드
목차
- 건설기계 e-마당이란? (개요와 이용 대상)
- 바로가기 만들기(PC·안드로이드·iOS)와 첫 화면 구조
- 회원가입·로그인·권한관리: 사업자/개인 구분, 대행 설정
- 건설기계 등록·변경·말소 민원 처리 절차
- 소유권 이전·저당 설정/해지 전자신청 요령
- 정기검사/수시검사 예약과 결과 확인
- 건설기계 안전교육·정비교육 신청 및 이수 관리
- 대여업(렌탈) 신고·실적보고·표준계약 관리
- 번호판·각인·차대번호(일련번호) 확인 및 재발급
- 배출가스·소음·튜닝(구조변경) 전자심사 흐름
- 보험/공제 가입확인, 의무이행 체크리스트
- 수수료·과태료·가산금 조회/납부와 영수증 보관
- 증명서 발급(등록원부, 검사합격, 교육이수 등)과 PDF 팁
- 현장 실무 팁: 장비 이동·임시운행·특수 작업 신고
- 파일·도면 업로드 규격, 스캔·촬영 요령
- 오류/반려(보완요청) 빈출 사례와 해결법
- 모바일 사용 최적화: 푸시 알림, 바코드·QR, 오프라인 준비
- 보안·개인정보 보호 체크리스트
- 연간 업무 캘린더(정기검사·교육·보고·보험 갱신)
- 마무리: 바로가기 세팅 + 주간 점검 루틴
1. 건설기계 e-마당이란? (개요와 이용 대상)

건설기계 e-마당은 굴삭기·지게차·덤프트럭·크레인 등 건설기계 소유자, 사업자(대여업·정비업·매매업), 조종자가 온라인으로 등록·변경·말소·이전부터 검사 예약, 교육 신청, 각종 증명서 발급까지 처리하는 통합 민원 포털입니다. 민원 창구 방문을 최소화하고, 진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https://www.csi.go.kr/cro/about_cro_001.do
2. 바로가기 만들기(PC·안드로이드·iOS)와 첫 화면 구조
PC: 브라우저 즐겨찾기에 ‘e-마당 메인’을 저장하고, 하위로 등록/변경, 검사예약, 교육신청, 증명발급, 전자문서함을 각각 추가합니다. 시작 페이지로 지정하면 아침 점검이 빨라집니다.
안드로이드: 브라우저 메뉴 → 홈 화면에 추가. ‘검사예약’과 ‘등록원부 발급’을 별도 아이콘으로 만들어 현장에서도 즉시 접근하세요.
iOS: 공유 → 홈 화면에 추가. 아이콘명을 “e-마당-검사, e-마당-증명”처럼 기능별로 구분하면 편합니다.
첫 화면에는 일반적으로 로그인/인증 영역, 주요 민원 바로가기, 공지/알림, 처리현황 위젯이 배치됩니다. ‘마감 임박’ 배너를 우선 확인하고 업무를 시작하세요.
3. 회원가입·로그인·권한관리: 사업자/개인 구분, 대행 설정
회원 유형: 개인 소유자, 법인·개인사업자, 대행기관(정비업·매매업·행정대행). 사업자는 사업자등록증·대표자 정보, 개인은 본인 인증수단을 준비합니다.
권한: 마스터(대표/관리자) → 작성·제출·열람 권한을 부여합니다. 결재선(작성→검토→제출)을 2단계 이상으로 설정하면 반려율이 낮아집니다. 퇴사/이동 인력은 즉시 권한 회수!
로그인: 공동/금융 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연동. 인증서 유효기간 만료 7일 전 캘린더 알림을 설정하세요.
4. 건설기계 등록·변경·말소 민원 처리 절차
신규 등록: 민원 선택 → 기계종류·제작사·형식·차대번호·제원 입력 → 소유자·사용본거지 기재 → 수수료·취득세 납부정보 첨부 → 제출.
변경 등록: 소유자·주소·정비/튜닝 후 제원 변경 등. 변경사유서와 관련 증빙(세금계산서·정비명세서) 첨부.
말소: 폐차·수출·도난·멸실 사유 선택 → 증빙(폐차확인, 수출신고) 첨부 → 번호판 반납 절차 안내 확인.
팁: 차대번호·형식 오기입이 반려 1순위입니다. 현장 각인 사진을 선명하게 첨부하세요(200~300dpi).
5. 소유권 이전·저당 설정/해지 전자신청 요령
이전 등록: 양수·양도 정보 입력 → 매매계약서·세금계산서·양도증명 첨부 → 취득세 납부 확인 후 제출. 공동소유 시 지분율·연락처 명확히.
저당: 금융기관 선택 → 채권최고액·설정일 입력 → 인감/위임 관련 스캔본 첨부. 해지는 해지확인서로 간단 처리.
주의: 이전 기한 경과 시 과태료 발생 가능. 계약일과 이전신청일의 차이를 최소화하세요.
6. 정기검사/수시검사 예약과 결과 확인
정기검사: 장비별 주기가 상이하므로 마이페이지 캘린더에서 만료일을 확인 → 검사소 선택 → 날짜/시간 예약 → 수수료 결제(가능 시) → 예약확인서 PDF 저장.
수시검사: 구조변경·사고·대수리 후 필요. 작업 내역서, 사진·부품명세 첨부.
결과: 합격증 즉시 출력, 보완 시 불합격 사유 확인 후 재검 예약. 도면·사진 보완은 동일 스레드로 업로드하면 처리 속도가 빠릅니다.
현장 팁: 검사 당일 차대번호·제원·작동·누설·등화장치 확인 체크리스트를 출력해 미리 점검하세요.
7. 건설기계 안전교육·정비교육 신청 및 이수 관리
조종자·정비사·안전관리자를 위한 법정·보수·전문 과정 제공. 지역/온라인, 과정시간, 잔여 좌석 필터로 검색 → 결제 → 수강.
이수 기준: 출석(오프라인 QR), 진도율(온라인), 평가·설문. 수료 즉시 교육이수확인서를 PDF로 내려받아 장비별 폴더에 보관하세요.
사업자는 구성원 일괄 신청 후 대시보드에서 진도/수료율을 모니터링하면 누락을 줄일 수 있습니다.
8. 대여업(렌탈) 신고·실적보고·표준계약 관리
신고: 대여장비 목록(제원·일련번호), 영업소, 책임관리자, 보험증빙 등록.
실적보고: 분기/반기 기준 임대일수·매출·사고발생 보고. CSV 업로드 양식 지원 시 템플릿을 활용하세요.
표준계약: 대여료, 가동/대기 정의, 운송·설치·철거 책임, 안전관리 의무, 손해배상·면책 조항을 표준안으로 유지하면 분쟁이 줄어듭니다.
9. 번호판·각인·차대번호(일련번호) 확인 및 재발급
번호판 분실·훼손 시 재발급 신청 → 분실사유서·경위서, 사진 첨부 → 반납/회수 단계 안내에 따릅니다. 차대번호 재각인은 승인 후 지정 작업장에서 진행하며, 작업 전·후 사진을 필수 업로드하세요.
10. 배출가스·소음·튜닝(구조변경) 전자심사 흐름
구조변경: 변경 전 설계도면·부품 인증자료 업로드 → 사전 심사 → 승인 후 작업 → 사후 검사 완료.
배출가스/소음: 인증서·시험성적서 첨부, 동일형식 증빙 활용 시 처리 빠름. 방진커버·머플러·DPF 장착은 사진·시리얼을 명확히 촬영하세요.
주의: 임의개조는 불합격·과태료 대상. 작업 전 승인 범위를 반드시 확인합니다.
11. 보험/공제 가입확인, 의무이행 체크리스트
대여·현장 투입 전 책임보험/공제 가입상태를 확인합니다. 만기 30일 전 자동 알림을 켜고, 증권·특약(현장 반출, 작업범위)을 PDF로 보관하세요.
체크리스트: 검사 유효, 보험 유효, 등록원부 일치, 교육이수 최신, 구조변경 승인 여부, 번호판 정상, 장비 일지 비치.
12. 수수료·과태료·가산금 조회/납부와 영수증 보관
민원별 수수료는 전자결제 또는 고지서로 납부합니다. 과태료는 기한 경과에 따른 가산금이 붙으므로, D-1 납부 습관을 들이세요. 모든 영수증은 월별 폴더에 저장, 회계 전표에 첨부하면 감사 대응이 수월합니다.
13. 증명서 발급(등록원부, 검사합격, 교육이수 등)과 PDF 팁
발급 종류: 등록원부(공동/단독), 검사합격증, 구조변경 승인서, 교육이수확인서, 대여업 신고확인, 보험가입 확인.
PDF 팁: 파일명 규칙
연도-월-장비식별-문서종류로 통일(예: 2025-03-EX01-검사합격). 여러 장비 서류는 병합 PDF로 한 번에 제출하면 현장 게이트 통과가 빨라집니다.14. 현장 실무 팁: 장비 이동·임시운행·특수 작업 신고
현장 간 이동은 운송계획과 보험 범위를 확인하고, 공도 주행 필요 시 임시운행 허가·표지 부착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야간·중량물·고소작업은 현장 안전계획과 작업허가서를 병행해 보관하세요.
15. 파일·도면 업로드 규격, 스캔·촬영 요령
권장 규격: PDF/JPG, 200~300dpi, 용량 10~20MB 이하. 도면은 흑백/그레이스케일로 스캔하면 용량 절감.
촬영 요령: 차대번호·각인·부품 시리얼은 수평·근접·그림자 제거, 흔들림 방지. 파일명에서 공백·특수문자 제거(예: EX01_chassis_2025-03.jpg).
16. 오류/반려(보완요청) 빈출 사례와 해결법
서류 누락: 매매계약서/정비내역/시험성적서 미첨부 → 체크리스트로 재점검 후 추가 업로드.
제원 불일치: 형식승인 제원과 등록 제원 불일치 → 제작사 카탈로그·형식증빙 첨부.
사진 판독 불가: 흔들림·역광 → 재촬영, 동일 위치 다각도 첨부.
기한 경과: 이전·검사 지연 → 사유서 첨부 후 과태료 납부/감면 규정 확인.
결제 오류: 브라우저 캐시 삭제·시크릿 창, 다른 결제수단 시도.
17. 모바일 사용 최적화: 푸시 알림, 바코드·QR, 오프라인 준비
검사 예약·보완 요청·교육 일정은 푸시 알림을 켜두면 놓치지 않습니다. 현장 출석은 QR/바코드로 빠르게 인증. 전파가 약한 현장은 필수 문서를 오프라인 저장으로 준비하세요(등록원부·검사합격·보험증권·교육이수).
18. 보안·개인정보 보호 체크리스트
- 공용 PC 자동로그인 금지, 작업 종료 시 모든 기기 로그아웃
- 권한 최소화(작성/열람/제출 분리), 월 1회 접속 로그 점검
- 주민번호·주소 노출 서류는 마스킹 처리 후 외부 제출
- 인증서 비밀번호 주기 변경, 분실 시 즉시 폐기·재발급
19. 연간 업무 캘린더(정기검사·교육·보고·보험 갱신)
1월: 장비별 검사 만료일 점검, 보험 일괄 갱신 계획 수립.
분기 초: 대여 실적보고, 교육·보수계획 확정.
상·하반기: 구조변경·튜닝 건 몰림 대비 사전심사 예약.
연말: 미이수 교육 마감, 번호판·서류 갱신, 권한·인증서 정리.
캘린더에 장비별 검사·보험·교육을 묶음 리마인더(30일·7일·전일)로 설정하세요.
20. 마무리: 바로가기 세팅 + 주간 점검 루틴
바로가기 세트: 등록/변경 · 이전/저당 · 검사예약 · 교육신청 · 증명발급 · 전자문서함.
주간 루틴: ① 공지/보완 알림 확인 ② 검사·교육·보험 만료 D-30 체크 ③ 진행 민원 상태 업데이트 ④ 전자문서 PDF 백업 ⑤ 권한·로그 점검. 이 루틴만 지켜도 건설기계 행정이 빠르고 깔끔해집니다. 지금 바로가기를 만들어 현장과 사무의 시간을 절반으로 줄여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