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좌정보 통합관리서비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 숨은 계좌·자동이체·포인트까지 한 번에 정리하는 실전 가이드
목차
- 서비스 개요: 무엇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나
- 홈페이지 바로가기 만들기(PC·안드로이드·iOS)
- 로그인·본인인증 준비물(공동/금융/간편인증)
- 내 계좌 통합조회: 은행·저축은행·증권·보험·페이
- 소액·비활동 계좌 정리 및 잔액 이전
- 자동이체·자동납부 일괄 조회/해지·변경
- 휴면예금/보험금/미환급금 확인과 청구 절차
- 개인신용·대출·카드·포인트 통합조회 팁
- 연금·IRP·청약·펀드 조회와 관리 체크리스트
- 엑셀 내보내기·가계부 연동·월간 점검 루틴
- 가족·상속 관련 조회 시 유의사항
- 보안/개인정보 보호: 안전하게 이용하는 방법
- 모바일 최적화: 위젯, 알림, 생체인증 활용
- 오류·접속·인증 문제 해결(FAQ)
- 분실·휴면화 방지 습관(분기별 청소법)
- 실전 시나리오 5가지(직장인·자영업·신혼·부모·취준)
- 바로 쓰는 체크리스트(1장 요약)
- 마무리: 바로가기 + 주간 10분 점검으로 끝내기
1. 서비스 개요: 무엇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나

계좌정보 통합관리서비스는 개인이 보유한 은행·저축은행·증권 CMA·보험계약 일부·전자금융(페이)·카드·포인트 정보를 한 화면에서 확인하고, 소액·비활동 계좌 정리, 자동이체 조회/해지, 휴면예금/보험금 확인까지 처리하도록 돕는 통합 포털입니다. 여러 앱을 오가며 찾던 수고를 줄이고, 분실 계좌·공과금 이중 납부·잠자는 포인트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https://www.payinfo.or.kr/index.do
2. 홈페이지 바로가기 만들기(PC·안드로이드·iOS)
PC: 접속 후 주소창의 별 아이콘으로 즐겨찾기 저장 → 즐겨찾기 바 맨 앞에 “계좌통합-메인”으로 배치. 하위 북마크로 계좌조회/자동이체/휴면/포인트 네 개를 추가하면 클릭 수가 줄어듭니다.
안드로이드: 브라우저 메뉴 → 홈 화면에 추가 → 아이콘명 ‘계좌통합’. 자주 쓰는 하위 메뉴는 별도 아이콘으로 만들어 출근길 1탭 점검에 활용하세요.
iOS: 공유 버튼 → 홈 화면에 추가 → ‘계좌통합’으로 저장 후 독(하단 고정)에 올려두면 편합니다.
팁: 개인/사업자 겸용이라면 브라우저 프로필(개인/업무)을 분리해 인증서·쿠키 충돌을 예방하세요.
3. 로그인·본인인증 준비물(공동/금융/간편인증)
준비할 것: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 1개 이상, 혹은 간편인증(주요 간편 본인확인 앱). 휴대폰 명의 일치가 필요합니다. 보안모듈 설치 안내가 나오면 최신 버전을 허용하고, 팝업·다운로드 권한을 열어주세요.
인증 팁: 인증서는 한 기기에만 보관(중복 저장 지양), 유효기간 만료 7일 전 캘린더 알림 등록, 간편인증은 푸시 허용·생체인증 활성화로 속도를 올립니다.
4. 내 계좌 통합조회: 은행·저축은행·증권·보험·페이
통합조회에서 실명 기반으로 연결 가능한 기관 목록이 제시됩니다. 처음 한 번 각 기관 계좌 연결에 동의하면 이후에는 원클릭으로 잔액과 상태가 갱신됩니다.
- 은행/저축은행: 입출금·예적금 계좌, 잔액, 휴면 여부
- 증권/CMA: 계좌 유무·잔고(세부 종목은 증권사 앱에서 확인)
- 전자금융: 페이머니·선불 충전 잔액
- 보험: 일부 계약 기본 정보(세부 해지환급금은 보험사 확인)
보기 팁: 잔액 0원이 6개월 이상 유지된 비활동 계좌는 정리 후보로 표시해 두고, 급여·공과금 등 필수 계좌는 즐겨찾기로 우선 노출시키세요.
5. 소액·비활동 계좌 정리 및 잔액 이전
오래된 소액 계좌는 수수료·보안 위험·관리 피로를 키웁니다. 통합관리에서 잔액 이체 → 계좌 해지 흐름으로 정리하세요.
- 정리 대상 선택(잔액·최근사용일 확인)
- 잔액 이체 계좌 지정(대표 주거래 계좌)
- 해지/휴면 해제 후 정리(기관 정책에 따라 처리)
주의: 자동이체가 걸려 있는 계좌는 해지 전 7일 정도 유예를 두고 자동이체를 새 계좌로 옮긴 뒤 해지하세요.
6. 자동이체·자동납부 일괄 조회/해지·변경
계좌/카드에 걸린 공과금·통신비·아파트관리비·정기구독 자동납부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조회: 기관·금액·청구일·최근 출금 성공/실패
- 해지/변경: 서비스 내 처리 또는 각 기관 안내에 따라 진행
- 이사/통신사 변경 시 중복 납부가 빈번하므로 즉시 점검
실전 팁: 청구일 분산(예: 월 5/15/25일)을 한 주에 몰지 않도록 조정하면 잔액 관리와 오류 예방에 유리합니다.
7. 휴면예금/보험금/미환급금 확인과 청구 절차
오래 거래가 없던 계좌·보험·적금이 휴면으로 전환된 경우 잔액을 찾아서 본인 계좌로 받을 수 있습니다.
- 휴면/미환급 목록 조회(기관·금액·발생일)
- 본인 확인 및 이체 요청(일부는 기관 방문/앱 연동 필요)
- 처리 결과 확인·내역 저장
체크: 보험 미청구 진료비·카드 연회비 환급 등은 별도 절차일 수 있으니 목록을 정기적으로 확인하세요.
8. 개인신용·대출·카드·포인트 통합조회 팁
카드 보유 현황과 포인트를 함께 점검해 만료 이전 사용을 계획하세요. 카드론/현금서비스는 비용이 높으므로 자동이체와 함께 상환 계획을 세웁니다.
- 카드: 이용중·휴면 카드 체크, 연회비 부과일 메모
- 포인트: 카드·항공·멤버십 포인트 만료일 정렬
- 대출: 금리·만기·상환방식 요약표로 비교
정리 기준: 6개월 미사용 카드, 한도 중복 카드는 정리 후보. 포인트는 월말 일괄 사용 루틴으로 소멸을 막습니다.
9. 연금·IRP·청약·펀드 조회와 관리 체크리스트
연금저축·IRP·퇴직연금은 각 기관 조회 결과를 모아 수수료/적립률/자산배분을 분기마다 점검하세요. 주택청약은 가입기간·납입횟수·순위 확인이 핵심입니다.
체크리스트: 납입 중지 상품 재점검, 중복 펀드 정리, IRP 수수료 비교, 위험도(주식/채권) 비중 재조정, 연말 세액공제 한도 관리.
10. 엑셀 내보내기·가계부 연동·월간 점검 루틴
조회 결과를 엑셀/CSV로 내보내기 해 가계부와 연결하면 분석이 쉬워집니다. 추천 루틴:
- 매월 1주차: 계좌·잔액 스냅샷 저장
- 2주차: 자동이체 실패/중복 점검
- 3주차: 소액·유휴자산 정리, 포인트 사용
- 4주차: 다음 달 납부 캘린더 조정
파일명 규칙 예:
2025-10_계좌통합_스냅샷.xlsx·2025-10_자동이체점검.xlsx.11. 가족·상속 관련 조회 시 유의사항
가족 계좌는 본인 동의 없이는 조회 불가가 원칙입니다. 사망자의 금융조회는 사망진단서·가족관계증명 등 별도 서류로 상속 절차에 따라 진행됩니다. 공동명의 계좌 정리는 각 명의인 동의가 필요할 수 있으니 사전에 협의하세요.
12. 보안/개인정보 보호: 안전하게 이용하는 방법
- 공용 PC 사용 금지, 불가피할 땐 로그인 상태 유지 해제 및 모든 기기 로그아웃
- 인증수단은 2종 이상 준비(인증서 + 간편인증), 생체인증 활성화
- PDF 저장 시 계좌번호 일부 마스킹, 클라우드 공유권한 점검
- 피싱 문자·유사 사이트 주의, 주소 철자 확인
백업: 월 1회 스냅샷 파일을 암호화 폴더에 보관하고, 외부 제출용은 필수 항목만 남겨 최소화합니다.
13. 모바일 최적화: 위젯, 알림, 생체인증 활용
앱/모바일 웹에서 바로가기 아이콘과 위젯을 설정하면 잔액·자동이체 일정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림은 자동이체 실패, 포인트 만료, 휴면 전환, 인증서 만료에 대해 켜 두세요. 생체인증을 기본으로 두면 5초 내 로그인 가능합니다.
14. 오류·접속·인증 문제 해결(FAQ)
접속이 느림/중단: 브라우저 캐시 삭제, 시크릿 창, 다른 시간대 재시도.
인증 실패: 인증서 비번 오류·유효기간 만료, 저장 경로 통일, 간편인증 푸시/알림 권한 허용.
기관 연결 불가: 해당 기관 점검 시간, 추가 동의 필요, 기관 앱에서 휴면 해제 후 재시도.
조회 금액 불일치: 거래 지연 반영 가능, 1~2시간 후 새로고침, 고지/청구일 교차 검증.
내보내기 오류: 팝업 허용, 다운로드 경로 권한, 파일명 특수문자 제거.
15. 분실·휴면화 방지 습관(분기별 청소법)
분기마다 계좌 정리의 날을 만들어 소액 계좌·휴면 후보를 정리하고, 자동이체 명세를 최신화하세요. 이사·이직·통신사 변경·결혼·출산 등 생활 이벤트 직후에는 반드시 한 번 더 점검합니다.
정리 기준표: ① 잔액 0원·6개월 미사용 → 해지 ② 1만원 미만·중복 기능 → 잔액 이체 후 해지 ③ 급여/공과금 전용 → 유지 + 즐겨찾기.
16. 실전 시나리오 5가지(직장인·자영업·신혼·부모·취준)
직장인: 월급통장·비상금·투자·생활비 4계좌 체계화 → 자동이체 날짜 분산(5/15/25일).
자영업: 사업용/개인용 분리, 납부 계좌 전용 지정, 분기별 부가세·4대보험 자동이체 점검.
신혼: 공동 생활비 계좌 신설, 중복 카드·포인트 통합, 청약·보증금 이체 체크.
부모: 자녀 명의 계좌·적금·교육비 자동이체 목록 관리, 장기 미사용 계좌 정리.
취준: 소액 계좌 정리로 수수료 최소화, 통신·구독료 자동이체 재점검.
17. 바로 쓰는 체크리스트(1장 요약)
① 인증수단 준비 → ② 통합조회 연결 동의 → ③ 소액·휴면 정리 → ④ 자동이체 목록 조정 → ⑤ 포인트 만료 사용 → ⑥ 엑셀 스냅샷 저장 → ⑦ 캘린더 알림(자동이체/인증서/포인트).
18. 마무리: 바로가기 + 주간 10분 점검으로 끝내기
홈 화면에 계좌조회·자동이체·휴면·포인트 4개 바로가기를 만들고, 매주 10분만 자동이체 실패·중복 납부·만료 포인트를 체크하세요. 월 1회 스냅샷 파일을 저장하면 자산 흐름이 선명해집니다. 오늘 세팅을 마치면, 흩어진 계좌와 자동이체가 한 화면에서 깔끔하게 정리됩니다.

